아래와 같이 세미나를 개최하오니 많이 참석해 주시기 바랍니다.
아 래
제목: 중성자로 보는 작은 세상 속 큰 물리
연사: 이 성 수 박사 (한국 원자력연구소)
일시: 2009년 11월 27일(금) 11:00
장소: 기초과학연구소 세미나실(31317호실)
초록: 고체의 물리적 특성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물질을 구성하고 있는 “원자가 어느 위치에서 어떠한 행동을
하면서 있는 가?”에 대한 연구가 가장 중요 한다. 원자의 위치와 행동을 이해할 수 있는 여러 가지 실험 방법
중 중성자 산란은 이러한 연구 목적에 가장 적합하고 강력한 실험 방법 중 하나이다. 중성자가 가지고 있는
중성인 성질과 스핀의 특성은 물질 내부 원자의 들의 위치와 자기적 성질을 미시적인 관점에서 자세히 볼 수
있게 해준다. 특히나 복합적이고 융합적인 물리현상 이해를 필요로 하는 최근 응집물리학계의 중요 연구 과
제인 Fe 기반 초전도체와 다강체 물질 등의 연구를 위해서 중성자 산란을 기반으로 한 미시적 관점에서의 물
질의 격자구조 및 자기 구조의 이해는 필수적이다[1,2]. 본 강연에서는 중성자 산란의 기초적인 원리와 활용
에 대해 이야기를 하고 복합다기능 소재로의 응용을 고려할 때 상온에서 반강자성 특성과 커다란 유전분극
값을 가지는 매우 흥미로운 시스템인 BiFeO3에 대한 연구 결과를 이야기 하고자 한다. 단결정 BiFeO3는 외
부에서 인가하는 전기장의 크기와 방향에 따라 내부의 전하분극 방향과 자기도메인이 변화한다[3]. 또한 이
물질의 전하수송 특성 연구를 통해 전기분극 방향과 연관된 특정 방향으로만 전류가 많이 흐르는 다이오드
특성과 빛을 조사하면 전류가 흐르는 Photovoltaic 효과를 처음으로 발견하였다[4]. 일반적인 강유전 특성
을 보이는 물질에서는 관측하기 어려운 BiFeO3의 이러한 특성은 이 물질만이 가지는 매우 흥미로우면서도
특이한 단일 도메인 물리와 연관이 된다[5]. 이 단일 도메인 현상은 단결정 BiFeO3가 강유전성 상전이 온도
보다 낮은 온도에서 성장되었기 때문에 가능하고 이러
한 단일 도메인 물질은 산업적 복합 소자 응용 가능성을 크게 높여준다.
[1] Seongsu Lee et al. Nature Materials 5, 471 (2006)
[2] Seongsu Lee et al. Nature 451, 805 (2008)
[3] Seongsu Lee et al. APPLIED PHYSICS LETTERS 92, 192906 (2008)
[4] T. Choi, S. Lee et al. Science 324, 63 (2009)
[5] Seongsu Lee et al. Phys. Rev. B 78, 100101(R) (200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