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우리과 졸업생 이미진 박사 부산대 물리학과 조교수 임용
2025-01-15우리 대학 물리학과 이미진 박사(학부 07학번, 석박통합 11학번)가 2025년 3월부로 부산대학교 물리학과 조교수로 임용된다. 이미진 박사는 2017년 2월 “Synchronization in Kuramoto oscillators and application to power-grid system”(지도교수: 김범준)이라는 주제로 응집 및 통계물리 분야에서 박사학위를 취득했다. 이후 인하대학교 물리학과 기초과학연구소에서 3년 반 동안 박사후연구원으로 활동했으며, 한양대학교 응용물리학과에서 4년 반 동안 교육전담교수로 근무하며 교육과 연구에 매진했다. 상호작용하는 개체들이 만들어내는 거시적 패턴을 연구하는 복잡계 시스템 분야에서 활발히 연구 활동을 이어가며 총 20여 편의 논문을 발표했다. 이미진 박사는 2011년 9월 김범준 교수 연구실에 석박사통합과정으로 입학해 통계물리학에서 전통적으로 다루는 상전이와 임계현상의 보편성 분류를 연구의 출발점으로 삼았다. 동기화 진동자 모형에서도 비동기화에서 동기화로의 상태 전이가 발생하는데, 관련 물리량의 상전이 임계지수를 측정해 전이 특성을 규명하는 연구를 수행했다. 특히 기존 연구와 차별화된 접근법으로, 평형 상태에 도달하기 이전의 물리량을 분석해 상전이 임계지수를 성공적으로 도출했고, 이 연구 결과는 물리학 분야 최고 권위의 저널인 Physical Review Letters에 게재되었다. 이 업적을 인정받아 물리학회에서 ‘우수여성대학원생상’을 수상했다. 박사과정 동안 동기화 모형 외에도 이름 유행 패턴, 작가의 필명과 일반인 이름의 차이, 전력망의 생산자 공간 배치가 시스템 안정성에 미치는 영향 등 일상적 현상에 대한 관심을 바탕으로 다양한 연구를 진행했다. 박사학위 취득 후 인하대학교 물리학과에서 박사후연구원으로 재직하며 박테리아 신진대사 네트워크 분석 연구를 주로 수행했다(지도: 현 고등과학원 이덕선 교수). 신진대사 네트워크의 진화 모델을 제안해 Physical Review Letters에 출판했으며, 네트워크의 구조적 특징만으로 박테리아 신진대사의 핵심 구조가 대규모로 형성된다는 사실을 밝혀 상위 1% 저널에 논문을 발표했다. 또한, 비균질적인 접촉 구조를 반영한 감염 확산 모형을 통해 감염 시간을 예측하는 연구도 수행했다. 기존 연구가 감염자 수 예측에 초점을 맞췄던 반면, 그는 비균질 접촉 구조에서는 감염자 수 변동성이 커 예측 정확도가 떨어진다는 점을 지적하며, 보다 적절한 측정량으로 감염 시간을 제안했다. 이 외에도 결핵환자의 총 사망자 수를 줄이기 위한 병원의 공간적 배치 방안을 제시하고, 정보 엔트로피를 활용해 방향성이 없는 네트워크에서 방향성을 추출하는 방법을 개발해 세계 무역망과 조선왕조실록 인물 네트워크에 적용하는 연구도 진행했다. 이후 한양대학교 응용물리학과 교육전담교수로 재직하면서 연구 활동을 이어갔다. 특히, 기계학습과 카토그램(지리정보 왜곡 지도)을 활용해 서울시 공공자전거 수요를 예측하는 연구를 공동 지도해 상위 1% 저널에 논문을 게재했으며, 서울시 COVID-19 감염자 데이터를 기반으로 백신 접종과 격리 전략의 효율성을 평가하는 연구도 수행했다. 통계물리학의 스미기 모형을 활용한 교통체증 분석과 동기화 진동자 모형을 확장한 부차 동기화 연구를 지도하며, 다양한 응용 분야로 연구를 확장해왔다. 또한, 네트워크 과학 분야의 기본서 세 권을 동료 연구자들과 함께 공역하여 대한민국학술원 우수도서로 선정되며, 교육 발전에도 기여하고 있다. 이미진 박사의 연구는 통계물리학의 이론적 기초를 바탕으로 다양한 현실 문제에 적용함으로써 학문적·사회적 가치를 높이고 있으며, 앞으로도 부산대학교에서 후학 양성과 연구 활동을 활발히 이어갈 것으로 기대된다.
[경향신문 2025.01.08][김범준의 옆집물리학] 과학자도 시민이다
2025-01-09경향신문 2025년 01월 08일에 실린 기사 발췌 출처: https://www.khan.co.kr/article/202501082046015
노창동 교수님, 유튜브 안될과학 출연_마이크로퀘이사 1/2
2024-12-17지난 12월 5일 구독자 124만명의 '안될과학' 채널에 노창동 교수님이 출연하셨습니다. https://www.youtube.com/watch?v=Js1BNSjn2wo
[최우석 교수 연구실] Nature Chemistry 논문 출판
2024-08-28우리 물리학과 최우석 교수님과 부산대 이재광 교수님, KENTECH의 오상호 교수님 연구실 간의 공동연구로 Nature Chemistry에 8월 28일 Monitoring the formation of infinite-layer transition metal oxides through in situ atomic-resolution electron microscopy 제목의 논문이 출판되었습니다. Title: Monitoring the formation of infinite-layer transition metal oxides through in situ atomic-resolution electron microscopy Authors: Yaolong Xing, Inhwan Kim, Kyeong Tae Kang, Jinho Byun, Woo Seok Choi, Jaekwang Lee & Sang Ho Oh Link: https://www.nature.com/articles/s41557-024-01617-7